경제및 투자/암호화폐 투자

USDT와 USDC: 스테이블 코인의 대표주자, 운영 방식 차이점

굿모닝 USA 2025. 6. 29. 12:35
반응형

스테이블 코인의 양대 산맥인 USDT(테더)USDC(USD 코인)의 차이점, 운영 방식, 그리고 Coinbase에서 USDT-USD 거래 쌍은 있는데 USDC-USD 거래 쌍이 없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안정성을 제공하는 핵심 자산으로, 그중 USDT와 USDC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코인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이란?

스테이블 코인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가격이 급등락하는 일반 암호화폐와 달리, 미국 달러(USD)와 같은 법정화폐에 가치를 1:1로 고정(페깅)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헤지하거나, 거래소에서 법정화폐 대신 안정적인 거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DT와 USDC는 모두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으로, 각각 독특한 특징과 운영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USDT와 USDC의 주요 차이점

USDT와 USDC는 비슷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발행 주체, 투명성, 규제 준수, 시장 점유율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차이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발행 주체

  • USDT (Tether):
    USDT는 Tether Limited라는 홍콩 기반 회사에서 발행합니다. 2014년에 출시된 USDT는 최초의 스테이블 코인 중 하나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Tether는 과거 비트파이넥스(Bitfinex) 거래소와의 밀접한 관계 및 준비금 투명성 논란으로 인해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받아왔습니다.
  • USDC (USD Coin):
    USDC는 2018년에 CircleCoinbase가 설립한 Centre 컨소시엄에서 발행합니다. 미국 기반의 회사로, USDC는 규제 준수와 투명성을 강조하며 신뢰를 쌓아왔습니다. 특히 Circle은 골드만삭스와 같은 대형 금융사의 지원을 받으며, VISA와의 제휴 등 전통 금융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 투명성과 규제 준수

  • USDT:
    Tether는 준비금(담보 자산)이 100% 현금 또는 현금 등가물로 구성되어 있다는 초기 주장이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과거 Tether는 발행된 USDT의 양이 은행에 예치된 달러보다 많다는 의혹과 비트코인 시세 조작 의혹을 받았으며, 정기적인 회계 감사를 거부해 신뢰성 논란이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뉴욕 검찰(NYAG)과의 합의로 투명한 회계 내역 공개를 약속하며 신뢰 회복에 나서고 있습니다.
  • USDC:
    USDC는 투명성과 규제 준수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Circle은 매달 Grant Thornton LLP 같은 상위 회계법인에서 감사를 받아 준비금이 1:1로 달러와 연동됨을 보장합니다. 또한, USDC는 뉴욕주 금융서비스부(NYDFS)와 같은 엄격한 미국 규제를 준수하며 운영됩니다. 이로 인해 USDC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더 신뢰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3. 담보 자산 구성

  • USDT:
    USDT의 담보 자산은 현금, 단기 국채, 유동 부채 상품 등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됩니다. 최근 자료에 따르면 USDT의 준비금 중 약 10%만이 현금 또는 현금 등가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상업어음(CP)이나 비트코인 같은 자산에 투자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유연하지만 위험도 존재합니다.
  • USDC:
    USDC의 담보는 주로 현금미국 국채로 구성되어 있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이는 청산 가능성에 대비한 보수적인 자산 관리 방식으로, USDC를 장기 보유에 적합한 선택으로 만듭니다.

4. 시장 점유율과 유동성

  • USDT:
    USDT는 2025년 기준 시가총액 약 837억 달러로 스테이블 코인 시장의 약 66.3%를 차지하며, 거래량과 유동성에서 압도적 1위를 유지합니다. 거의 모든 주요 거래소에서 USDT 거래 쌍(BTC/USDT, ETH/USDT 등)이 존재해 초보자들에게 편리합니다.
  • USDC:
    USDC는 시가총액 약 270억 달러로 USDT의 뒤를 잇지만, 26.4%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2022년 테라-루나 사태로 USDT의 신뢰가 흔들렸을 때 USDC의 점유율과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5. 지원 블록체인

  • USDT:
    USDT는 이더리움(ERC-20), Tron(TRC-20), 솔라나, 오미니(Omni) 등 13개 이상의 블록체인에서 사용 가능해 전송 및 거래의 유연성이 높습니다.
  • USDC:
    USDC는 주로 이더리움, 알고란드, 솔라나 등에서 지원되며, USDT보다 지원 네트워크가 제한적이지만, 규제된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강조합니다.

USDT와 USDC의 운영 방식

USDT의 운영

USDT는 투자자가 달러를 Tether Limited에 입금하면 해당 금액만큼 USDT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발행된 USDT는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이나 다른 암호화폐 구매의 브릿지 자산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과거 Tether는 과도한 발행과 준비금 부족 의혹으로 논란을 겪었으며, 이는 비트파이넥스 거래소와의 관계 및 불투명한 자산 관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최근 Tether는 분기별 준비금 보고서를 공개하며 신뢰 회복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USDC의 운영

USDC는 Centre 컨소시엄이 관리하며, 사용자가 달러를 Circle의 은행 계좌에 입금하면 1:1 비율로 USDC를 발행합니다. 발행된 USDC는 거래소, DeFi 프로토콜, 결제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며, 사용자가 USD로 교환을 요청하면 토큰은 소각되고 달러가 반환됩니다. USDC는 정기적인 감사와 미국 규제 준수로 신뢰성을 유지하며, 특히 DeFi 생태계와 전통 금융과의 통합에 강점을 보입니다.

Coinbase에서 USDT-USD는 있고 USDC-USD는 없는 이유

Coinbase에서 USDT-USD 거래 쌍은 존재하지만 USDC-USD 거래 쌍이 없는 이유는 USDC의 특성과 Coinbase의 운영 전략에서 비롯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USDC는 Coinbase의 자체 스테이블 코인
    USDC는 Coinbase가 Circle과 함께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으로, Coinbase에서는 USDC를 법정화폐(USD)와 동등한 자산으로 취급합니다. 따라서 Coinbase에서는 USDC를 USD로 바로 변환하거나 입출금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별도의 USDC-USD 거래 쌍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사용자는 Coinbase에서 USDC를 USD로 1:1 비율로 즉시 교환하거나 입금/출금할 수 있습니다.
  2. USDT는 외부 발행 스테이블 코인
    반면, USDT는 Tether Limited에서 발행하는 외부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Coinbase는 이를 독립적인 암호화폐 자산으로 취급하며, 시장에서 USDT와 USD 간의 거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USDT-USD 거래 쌍을 제공합니다. 이는 USDT의 높은 유동성과 거래소 내 거래 쌍(BTC/USDT, ETH/USDT 등)의 인기를 반영한 것입니다.
  3. 시장 수요와 거래소 전략
    USDT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테이블 코인으로, 거래소에서 BTC/USDT, ETH/USDT 같은 거래 쌍이 표준화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Coinbase도 USDT-USD 거래 쌍을 통해 사용자들이 USDT를 USD로 변환하거나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반면, USDC는 Coinbase의 생태계 내에서 USD와 직접 연동되므로 별도의 거래 쌍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4. 수수료와 운영 효율성
    USDC-USD 거래 쌍을 별도로 제공할 경우, 거래소는 추가적인 거래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시장 유동성을 관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USDC는 Coinbase에서 USD와 직접 교환 가능하므로, 별도의 거래 쌍 없이도 효율적으로 운영됩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단순화하고 거래 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어떤 스테이블 코인이 더 나을까?

USDT와 USDC 중 어떤 코인을 선택할지는 사용자의 목적과 우선순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는 간단한 가이드입니다:

  • USDT를 추천하는 경우:
    • 높은 유동성과 거래 쌍이 필요한 경우 (특히 바이낸스, OKX 같은 해외 거래소에서).
    •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싶을 때.
    • 단기 거래나 빠른 자산 이동이 목표일 때.
  • USDC를 추천하는 경우:
    • 규제 준수와 투명성을 중시하는 경우.
    • 장기 보유나 기관 투자에 적합한 안정적인 자산을 원할 때.
    • DeFi 프로토콜이나 미국 기반 거래소(Coinbase, Kraken 등)에서 사용하려는 경우.

마무리

USDT와 USDC는 각각의 강점과 약점을 가진 스테이블 코인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USDT는 유동성과 시장 점유율에서 앞서지만, 투명성 논란이라는 그림자를 안고 있습니다. 반면, USDC는 규제 준수와 신뢰성에서 강점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복잡하지만, 스테이블 코인은 그 안에서 안정적인 피난처를 제공합니다. 여러분의 투자 스타일과 목표에 맞는 스테이블 코인을 선택해 현명한 투자를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